“예방접종 후 열이 나요. 해열제를 바로 먹여야 할까요?”
백신 접종은 건강한 성장의 필수 단계지만, 발열·무기력 등 이상 반응이 올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접종 후 정상 반응과 주의해야 할 증상 구분, 해열제 복용 기준, 실제 부모 대응 사례까지 정리합니다.
💉 예방접종 후 흔한 반응
생후 0~24개월 아기에게 흔히 나타나는 접종 후 반응:
- 🌡️ 미열 (37.5~38.4도)
- 😴 졸림, 무기력
- 💧 주사 부위 발적, 종창, 통증
- 🍼 수유량 일시적 감소
대부분 48시간 내 호전되며, 발열은 **면역 형성 과정의 정상 반응**입니다.
🧭 단계별 대처법 – 접종 후 48시간까지
✅ 1단계: 접종 직후 ~ 6시간
- ✔️ 미지근한 물로 주사 부위 닦아주기
- ✔️ 모유 또는 분유 수유는 평소대로 유지
- ✔️ 수면 유도보다 **지켜보며 안심시키기**
✅ 2단계: 접종 후 6~24시간 (발열 발생 가능)
- ✔️ 체온 체크는 **4~6시간 간격**으로
- ✔️ 37.5도 이상이면 얇은 옷으로 갈아입히기
- ✔️ 38도 이상이면 해열제 고려 (사용 기준은 아래 참고)
✅ 3단계: 24~48시간 (회복기)
- ✔️ 미열이 지속되어도 수유량/기분/반응이 정상적이면 경과 관찰
- ✔️ 발열이 멈추면 해열제 투여 중단
💊 해열제 사용 기준 & 용량
소아과 권고에 따른 해열제 사용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🌡️ 38.0도 이상 & 아기가 무기력하거나 힘들어할 때
- ✅ 첫 번째 선택은 아세트아미노펜(타이레놀 계열)
- ❌ 6개월 미만은 **이부프로펜 계열 해열제 금지**
용량 계산법 (mg 기준):
👉 [아기 체중(kg) x 10~15mg]
= 1회 용량
예) 체중 8kg 아기 → 80~120mg 1회 투여 가능
👨👩👧 실제 부모 대응 사례
“생후 4개월 접종 후 6시간 뒤 38.2도 열이 나서,
타이레놀 시럽을 2ml 먹인 뒤 1시간 후 37.4도로 떨어졌어요.
식욕은 평소보다 조금 줄었지만, 놀이나 반응은 괜찮아서 별도로 병원은 안 갔고, 이틀째에는 열도 없고 컨디션 회복됐습니다.”
👩⚕️ 소아과 전문의 조언
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에 따르면 :
“발열은 면역 형성의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. 단순 수치보다 아이의 전반적인 상태(표정, 수유, 울음)를 함께 보고, 해열제는 ‘필요시’만 사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”
⚠️ 이런 경우 반드시 병원 방문
- ❗ 접종 후 48시간 이상 고열 지속
- ❗ 열 + 경련 발생
- ❗ 발열 + 무반응 / 축 늘어짐
- ❗ 접종 부위 심한 붓기 + 피부 발진 동반
👶 이런 부모님께 추천하는 정보
- 아기 첫 예방접종을 앞두고 불안한 초보 부모
- 해열제 복용 시기와 용량에 대한 기준이 필요한 경우
- 소아과 방문 타이밍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
📌 요약 정리
발열 = 면역 반응일 수 있으며, 38도 이상 + 무기력 시에만 정량의 해열제를 사용하세요.
해열제를 바로 먹이는 것보다, 수분 보충 + 체온 조절 + 관찰이 우선입니다.